안녕하세요, 멋쟁이 동산이 멋동이입니다.
오늘은 해외주식을 할 때 고려해야 하는 수수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해외주식 거래 시 가장 중요한 것은 환전수수료, 거래시간, 거래수수료, 세금입니다.
자, 이제부터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환전수수료?
: 미래에셋대우의 경우는, 원화->달러로 환전 시 달러당 5원으로 고정수수료를 책정하였습니다.
이 외의 대부분의 증권사에서는 매매 기준환율의 약 1% 정도를 환전수수료로 책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일단 2%의 손실을 보고 해외주식투자를 시작한다고 보면 됩니다.
ex. 환율이 1$당 1200원일 경우, 주식을 사기 위해 환전 후 다시 원화로 수입을 받는다고 가정해봅시다.
원화->달러 환전 시, 12원의 수수료(약 1%) + 달러->원화 환전 시, 12원의 수수로 (약 1%)으로 총 24원 (총 2%)정도가 됩니다.
하지만 증권사별로 정확한 환전수수료는 다르기 때문에 투자 직전에 문의하고 시작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또한, 증권사마다 고객 유치를 위해 환전 수수료를 우대해주는 경우가 있어서 다른 증권사들도 충분히 고려하고 시작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2. 해외주식 거래시간?
서머타임이란, 여름철 표준시보다 1시간 시계를 앞당겨 놓는 제도로, 미국은 매년 3월 둘째 주 일요일 오전 2시를 기점으로, 유럽은 매년 3월 마지막 일요일 오전 1시를 기점으로 서머타임이 실시됩니다. 서머타임 시 시간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각국 현지 증시 개장시간이나 폐장시간은 변함이 없지만 우리나라는 함께 서머타임을 적용하지 않기 때문에 시차가 발생하여 개장 및 폐장 시간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한국 거래시간의 경우,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 입니다.
미국의 경우, 한국시간으로 밤 11:30분부터 오전 6시까지이고 장전 거래는 밤 9시부터 가능합니다.
물론, 시간이 없어 주식 매수 및 매도를 할 수 없는 경우를 위해 예약매수, 예약 매도 기능도 있기 때문에 각 증권사별로 확인을 해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3. 거래 수수료?
: 증권사마다 다르고 이벤트인 경우도 많아 잘 알아보고 시작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세금?
: 해외주식의 경우, 2가지의 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1) 배당소득세
:받은 배당금 중에서 15%는 미국에서 원천징수 후 우리나라 계좌로 배당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국내외 관계없이 1년간 받았던 배당소득이 2천만 원을 초과한다면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에 들어갑니다.
2) 양도소득세
: 1년 동안(1/1~12/31) 250만 원 이상 이익을 보면 250만 원을 초과한 금액에 대해 22%가량 세금이 부과됩니다.
ex. 1000만 원의 수익 발생 시, 250만 원을 제외한 750만 원이 과세 수익
-> 750 X 0.22 (22%)= 165만 원이 양도소득세
위와 같이 환전수수료, 거래시간, 거래수수료, 세금 등을 고려하여 많은 비교를 통해 안전하고 좋은 투자를 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주식 > 주식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밸류체인(value chain)이란 무엇일까? (0) | 2021.03.22 |
---|---|
OEM과 ODM 주식은 무엇일까? (정의, 차이점) (0) | 2021.03.18 |
ETF의 종류는 무엇이 있을까? (레버리지, 인버스 ETF 등) (0) | 2021.02.18 |
쿠팡, 미국 증시 상장 IPO가 대체 무엇일까? (0) | 2021.02.16 |
ETF란 무엇일까? (ETF와 펀드의 차이 비교) (0) | 2021.02.15 |